
원래는 브롬톤의 외장 7~9단용 뒷드레일러 & 변속 시스템인데. 체인 훅 (텐셔너) 기능(?)이 있어서 버디에도 적용하면 버디의 유일한 단점 중에 하나인 체인쳐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듯 싶습니다. 다만 아직은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제품브랜드라 내구성이나 완성도에 있어서는 좀 의문이 들기는 합니다.ㅎㅎ 그리고, 시마노나 스램 레버와의 호환성, 10단~12단 호환성 등의 문제도 있구요. 어여튼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물건 입니다.ㅎㅎ 가격은 전용 변속레버 포함 60달러, 무료배송

꼬맹이 자전거 조립해주기 위해 구한 버디 GT 휠셋입니다. 장착 전 무게 한 번 재 보았습니다. 버디 디스크용 앞 바퀴입니다. 일반 디스크용 앞 바퀴와 좀 차이가 나지요. 네, 서로 호환되지 않습니다. 자세한 거는... 버디 와 일반 휠셋의 차이 스포크는 버티드 같은거 없는 그냥 민자네요. 앞뒤 32h 2 cross 일반적인 스포크 패턴 림은 알렉스림 무게는 앞 645g, 뒤 811g, 큐알 120g 앞뒤휠셋 합 1465g 그냥 무난하네요. 비싼 GT 가격에 비해 좀...다소 아쉬운 스펙이네요.ㅎㅎ 참고로 제가 선호하는 슈발베 마라톤 레이서 타이어 무게 290g 버디 순정 맥시스 타이어 394g

버디 순정 18인치(40-355)에서 20인치 마라톤플러스(35-406) 인치업 비교입니다. 앞서 게시한 18인치(355), 20인치(406) 림 지름과 타이어 관계를 바탕으로 설명하면. 타이어 포함 18인치 바퀴 지름은 대략... 355+40*2= 433 20인치 바퀴 지름은 대략... 406+35*2= 476 대략 (476-433)/2= 21.5 (단위 mm) 정도 순정타이어 기준 20인치업 하면 전체적으로 차체가 2cm 정도 올라가네요..ㅎㅎ 바퀴 한바퀴 굴러갈 때 차이는 3.14*43= 135.02..(mm) 만약 18인치 빌리봉커스 타이어(50-355) 와 20인치 듀라노(28-406)를 비교하면 18인치 바퀴 지름은 대략... 355+50*2= 455 20인치 바퀴 지름은 대략... 406+2..